본문 바로가기

정보 공유

2025 청년도약계좌 대상 조건 및 신청방법, 은행 이자 나이 / 변경사항

반응형

 

 

 

목차

 

 

 

 

반응형

 

 


2025년 청년도약계좌 변경 사항

정부 기여금 상향 :
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3만 3천 원까지 정부 기여금이 지원됩니다. 기존에는 최대 2만 4천 원이었으나, 이번 상향으로 5년 만기 시 최대 60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
매칭 한도 확대 :

이제 월 납입 한도인 70만 원 전체에 대해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확대된 기여금은 2025년 1월 납입분부터 적용되며, 신규 가입자뿐만 아니라 기존 가입자에게도 적용됩니다.

중도해지 혜택 강화 :

계좌를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할 경우, 정부 기여금의 60%를 유지할 수 있으며,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. 이를 통해 긴급한 자금이 필요할 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
신용평가 혜택 도입 :

계좌를 2년 이상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, 신용점수가 5~10점 자동으로 부여됩니다. 이는 대출이나 금융 상품 이용 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
부분 인출 서비스 신설 :

2025년 하반기부터 납입원금의 40% 이내에서 부분 인출이 가능해집니다. 이를 통해 긴급 자금이 필요할 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란 무엇인가?

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한 정부지원형 적금 상품으로 만기 5년(60개월)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며,

개인 소득 수준 및 납입 금액에 따라 매월 최대 6%의 정부기여금을 지급 받을 수 있고,

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 또한 받을 수 있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 대상 및 조건은 어떠할까?

나이 요건 :
계좌개설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의 청년일 경우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합니다.
*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나이 계산시 빼고 계산합니다.

 

개인소득 요건 :

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이고, 종합 소득 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합니다.

(단, 육아휴직급여(육아휴직수당),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합니다.)
※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됩니다.

 

가구소득 요건 :

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합니다.
※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됩니다. 
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형제·자매(미성년자)를 기준으로 판단

 

참고용 2023년 기준 중위소득 250% 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금융소득종합과세  요건 :

청년도약계좌 신청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년동안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신청 은행은 어디일까?

 

신청방법 :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의 모바일 앱에서 비대면으로 신청 가능합니다. 

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: 아래 11개 은행에서 개설 가능합니다.

 

  • 농협은행
  • 신한은행
  • 우리은행
  • 하나은행
  • 기업은행
  • 국민은행
  • 대구은행
  • 부산은행
  • 광주은행
  • 전북은행
  • 경남은행

 


 

 

이상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금리도 좋고, 비과세 혜택에 정부기여금까지 있어서 일반 은행 적금으로 환산하면 연 최대 9.54%의 수익률을 볼 수 있다고 하니, 조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꼭 잘 활용해 보셨으면 좋겠어요 ! 

 

 

 

반응형